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흑염소먹이 #흑염소습성 #반추동물 #되새김질 #흑염소채식 #흑염소종이 #흑염소소화력 #흑염소의위장구조


목차

1. 흑염소가 잘 먹는 것 vs 가리는 것

2. 흑염소의 독특한 채식 습성         

3. 반추동물 흑염소는 종이를 먹나?  

4. 흑염소 소화력의 비밀 & 위장구조









¯

1. 흑염소가 잘 먹는 것 vs 가리는 것

흑염소먹이를 다양하게 먹는 동물입니다.

나뭇잎이나 나뭇가지는 물론, 다른 가축이 잘 먹지 못하는

들풀 종류나 수엽류 계통의 조사료도 곧잘 먹는 편입니다.


여린 잎뿐만 아니라 낙엽이나 거친 식물도 먹기 때문에
관목림이나 덩굴림처럼 땅의 활용 가치가 떨어지는 지대를

자연 방목지로 야무지게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흑염소는

편식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두루 섭취하곤 합니다.



그러나, 흑염소가 아무거나 다 잘 먹는 것은 아닙니다.

흑염소는 같은 풀이라도 좋아하는 부위만 골라서 먹는데요.


깨끗하고 건조한 환경만을 좋아하고, 습기를 무척 싫어해서

불결한 사료나 비에 젖은 풀은 입에 잘 대지도 않습니다.

주로 신선하고 청결한 것, 새로운 것만을 골라 먹습니다.


 천담온 흑염소농장 사료들깨 깻묵 먹이는 모습(클릭) 










¯

2. 흑염소의 독특한 채식 습성

염소는 호기심이 많아서 이리저리 탐색하며 풀을 먹습니다.

몇몇 선진국에서는 염소의 독특한 채식 습성을 활용하여

친환경 제초 작업에 염소들을 대거 투입하기도 합니다.


깊은 계곡이나 덤불지대 등 사람과 기계가 접근하기 어려운

우거진 녹지와 방치된 땅에 무성하게 자라난 잡초염소

호기심과 습성을 통해 자연 친화적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



또, 흑염소는 어느 정도 배가 차고 나면 풀을 먹는다기보다

이리저리 배회만 한다거나, 나무껍질을 벗겨 먹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자연 방목하는 소와 흑염소의 채식을 비교해보면

소가 한곳에 자리를 잡고 풀을 정갈하게 뜯어 먹는 것에 반해

흑염소는 쉬지 않고 돌아다니며 좋아하는 풀만을 취하

듬성듬성 뜯어먹으며 계속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소가 MBTI 중 J 성향이라면, 염소는 P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지요 :) 


 

그러므로 흑염소가 마음껏 풀을 즐길 수 있는 자연 방목지

깨끗하고 청결하게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환경뿐만 아니라

돌아다니면서 채식하는 흑염소의 습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자유롭게 산책할 수 있는 광활한 면적이 꼭 필요합니다.


 천담온의 흑염소농장(갤러리): 총 면적 27.636.36m²










¯

3. 반추동물 흑염소는 종이를 먹나?

잡식성 동물인 흑염소는 풀 이외에도 과일, 뿌리채소,

심지어는 종이까지 먹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되새김질하는 반추동물 중에서도 흑염소

뭐든 잘 소화할 수 있는 강력한 위장을 가졌는데요.

먹은 것을 분해하여 당으로 만들어내는 소화 능력

다른 어떤 초식동물보다 훨씬 위대하기 때문입니다.


[이미지1]흑염소 위장 (출처: OpenStax College, Biology. OpenStax CNX)

http://cnx.org/contents/185cbf87-c72e-48f5-b51e-f14f21b5eabd@11.2.



종이까지 먹을 수 있는 것은 딱딱한 섬유소도 분해하는

흑염소의 반추위와 그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 덕분입니다.


특히, 한국 재래 흑염소의 소화기관에는 1,900종이 넘는

고효율의 섬유소 분해 효소 유전자가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2012년 6월 농촌진흥청 발표 기사: 자세히 보기(클릭)









¯

4. 흑염소 소화력의 비밀 & 위장구조

반추동물은 총 4개의 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추위(제1위)와 벌집위(제2위)에는 셀룰로스 섬유소를 

소화할 수 있는 원핵생물과 원생생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추동물은 벌집위(제2위)에서 되새김질하여 씹은 후에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겹주름위(제3위)에서 삼킵니다.


그런 다음, 되새김질은 진위(제4위)로 전달되어 

반추동물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 소화가 됩니다.



[표1] 흑염소의 4가지 위의 종류와 역할

위의 종류역할과 기능
제1위
반추위

  • 4개의 위 중 부피가 제일 크고, 미생물이 서식

  • 되새김하거나 섬유소와 요소를 분해하여 체내 대사에 필요한 영양분으로 이용

제2위
벌집위
  • 제1위와 유사. 대부분의 세균과 미생물이 공생하고 있어 섭취한 먹이를 발효
  • 미생물에 의해서 탄수화물은 휘발성 지방산 메탄가스, 이산화탄소 등으로 분해되고 단백질은 아미노산과 암모니아로 분해
  •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단백질은 반추위를 통과하여 소장에서 소화되거나 흡수
제3위
겹주름위
(천엽)
  •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
  • 되새김질이 끝난 음식을 충분히 소화시켜 입자가 큰 내용물이 제4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
제4위
주름위
  • 단일위 동물들의 위와 비슷한 위 (=진위)
  • 소화액을 분비하고 일반적인 위 기능





게시글 신고하기

신고사유

신고해주신 내용은 쇼핑몰 운영자의 검토 후 내부 운영 정책에 의해 처리가 진행됩니다.

닫기
댓글 수정
취소 수정
댓글 입력

댓글달기

영문 대소문자/숫자/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 조합, 10자~16자 등록
/ byte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